본문 바로가기
ETC/유익한정보

5천만원 만들어주는 청년도약계좌

by theguywholivethatgeneration 2024. 1. 13.
반응형

2023년 6월 15일부로 출시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자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공공재정지급금)이 지급되는 상품으로, 거짓된 정보로 부정청구를 하는 경우 「공공재정환수법」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환수되며 제재부가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정부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상품명 가입기간 납입금액 금리
청년도약계좌 60개월 1천원 ~ 70만원 내 매월 자유롭게 납입 취급기관 자율결정(3년 고정, 2년 변동)
*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입대상 조건

 

나이는 19세 ~ 34세 이하로 병역이행기간(최대6년)은 연령 계산 시 빼고 계산한다. 개인소득은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단,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수당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에 해당한다. 가구 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 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자는 가능하다. 

 

나이 개인소득 가구소득
19세 ~ 34세 7,500마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이 외에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면 가입을 할 수 없다.

 

 

가입시 혜택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이 지원되고 , 본인납입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와 이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 명칭 : 소득 + 우대금리)

개인 소득 기준 정부기여금(月)
지급한도 매칭비율 한도
총금여 2,400만원 ↓
(종합소득 1,600만원 )
40만원 6.0% 2.4만원
총금여 3,6400만원 ↓
(종합소득 2,600만원  )
50만원 4.6% 2.3만원
총금여 4,800만원 ↓
(종합소득 3,600만원  )
60만원 3.7% 2.2만원
총금여 6,000만원 ↓
(종합소득 4,800만원  )
70만원 3.0% 2.1만원
총금여 7,500만원 ↓
(종합소득 6,300만원  )
- - -

 

 

2024년도, 달라진 청년도약계좌 내용

 

육아휴직급여도 가입요건 소득에 포함

- 육아휴직자도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하다.

 

전년도 소득 확정 전, 가입자의 경우 모두 비과세 인정

- 24년 1월 이전에 가입하였더라도 모두 해당된다.(소급적용)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자는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가능

- 일시납입시 예금과 똑같은 효과로 더 많은 이자를 받으면서 장기적인 자산현성이 가능 

 

 

자세한 안내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ylaccount.kinfa.or.kr/main

반응형

댓글